본문 바로가기
5. NeXTSTEP

1990-1995: NeXT와 Be, 그리고 Mac PC

by soosun 2009. 7. 17.
1990-1995: NeXT와 Be, 그리고 Mac PC


1990-1995: NeXT, Be, and the Mac PC

Friday, September 8, 2006

"플랫폼의 역사, 그리고 그 대결"은 플랫폼을 새로 발족시키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 그 플랫폼을 유지하는 일은 또 얼마나 고된지를 알려주었다. 본 글에서는 컴퓨팅 플랫폼의 역사적인 궤적(軌跡)과 함께, 누가 왜 이겼는지, 누가 왜 졌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컴퓨팅 환경이 언제나 변하기는 하지만, 기본 원칙은 오늘날에도 변함이 없으며, 애플의 레퍼드나 마이크로소프트의 비스타와 같은 미래 개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지난 기사: 1990-1995: NeXT, Be, and the Mac PC
맥 플랫폼을 새로이 하기 위해, 개선하기 위해, 혹은 교체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벌이는 한편, 애플은 컴퓨터 플랫폼의 새 세대로부터의 경쟁에 직면하게 된다. 그중 두 플랫폼은 애플에서 떨어져 나간 회사, 다름아닌 넥스트(NeXT)와 비(Be)였다.

NeXT
자신이 CEO로 임명한 존 스컬리의 명령때문에 애플에서 축출된 이후, 스티브 잡스는 자기 회사를 따로 세운다. 새로운 회사, 넥스트는 80년대 후반 내내 미래의 컴퓨터 플랫폼 시스템을 디자인하는 데에 보낸다.

애플에서 나온 뒤 자기 자신의 돈을 투자하는 한편, 억만장자인 EDS로스 페로(Ross Perot)의 상당한 자금 지원으로 잡스는 애플 매킨토시와 리사 팀으로부터 하드웨어 엔지니어들을, 카네기멜론 대학의 에이비 티베이니언(Avie Tevanian)으로부터는 소프트웨어 디자인팀을 불러모을 수 있었다.

애플이 맥 플랫폼의 유지로 들어서고 있을 때, 즉, 애플이 "새로운 컴퓨터의 마지막"을 만들고 있을 때, 넥스트는 "최초의 미래 컴퓨터"를 대표하였다. 미래를 발명한다는 넥스트의 유혹덕택에 넥스트는 최고 수준의 엔지니어들을 모을 수 있었다. 하지만 애플에서 나온 넥스트 엔지니어가 워낙에 많기에, 두 회사는 미래를 향한 비전이 상당히 유사했다.

애플과 넥스트는 모두 모토로라의 차세대 RISC 프로세서인 88100을 고려중이었으며, 유닉스를 현대적인 운영체제 기반으로 사용하기 위해 작업하고 있었다. 그리고 두 회사 모두 강력하고 쓰기 쉬우면서 우아한 플랫폼을 전체 패키지 솔루션으로 목표를 잡았다.

애플과 넥스트의 차이점은 애플이 기존의 고객과 개발자를 거느렸다는 데에 있다. 분명 애플에게 있어서는 장점으로 작용하였고, 단점으로도 작용하였다. 1985년부터 1990년 사이의 사건이 말해주듯, 애플로서는 완전히 새로운 플랫폼을 선보이는 데에 점차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즉, 애플이 거느리고 있는 기존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기반은 애플에게 있어서 지원 부담이 되기도 하였다. 반면 넥스트는 점차 보수적으로 흐르는 애플로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방식으로 새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자유로이 소개할 수 있었다.

넥스트는 맥이 8비트 플랫폼에서 건너뛴 것처럼, 자신도 맥을 건너뛰기 바랬다.

1990년 당시, 넥스트는 넥스트 컴퓨터를 최신예 68030 칩에 특화된 DSP 하드웨어프로세싱을 내장한 웍스테이션급의 머신으로 소개하였다. 넥스트 머신은 마흐 커널과 POSIX 호환 BSD 하부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걸작 운영체제를 탑재하였다. 게다가 고도로 객체-지향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을 갖고 있었다.

넥스트는 웍스테이션급 유닉스 시스템의 기존 기술을 새 플랫폼에 추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68k 프로세서나 SCSI, NuBus, ADB와 같은 애플이 개척한 아이디어도 포함시켜서 새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정말 넥스트가 제공한 새로운 기능은 많았다. 기술 면에 있어서 최고의 기술을 한데 모은 부분이 많았다.

덕택에 넥스트는 기초 기술을 재발명하는 데에 들이는 시간을 줄이는 한편, 새 기능으로 빠르게 자신을 차별화시킬 수 있었다. 가령 POSIX 기반의 추가 덕택에 넥스트는 유닉스 사용자들에게 친숙한 소프트웨어 호환 환경을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그덕분에 넥스트는 운영시스템 기술의 많은 부분을 무료로 구현시킬 수 있었다. 파일 퍼미션이나 다중사용자 환경과 같은 일반적인 기능을 처음부터 스스로 개발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유닉스는 이미 성숙한 해결책이었다.

넥스트의 새 플랫폼은 애플 하이엔드 맥과 직접적인 경쟁을 목표로 삼았다. 애플과 넥스트 간에 전직 애플 직원을 넥스트로 데려갔다는 법적 공방은 두 회사 간의 합의로 결론이 났는데, 그 합의로 인하여 넥스트는 로우엔드 시장에 진입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넥스트가 개척한 기술 자체가 넥스트를 너무 고가로 만들었기에 합의가 없었다 하더라도 로우엔드 시장에 들어서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또한 넥스트의 경쟁상대는 다른 유닉스 웍스테이션이었다. 기존 POSIX 소프트웨어 호환성덕분에 넥스트는 웍스테이션 시장에 있어서 애플보다 한 수 위였다. 더해서 넥스트의 빠른 개발 프레임웍은 특정 시장용 넥스트 소프트웨어 개발 속도를 가속화시켰다. 그래도 매우 경쟁이 치열한 웍스테이션 시장에서 완전히 새로운 플랫폼을 소개하는 일은 어려웠다.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도 당시에는 윈도우즈 플랫폼을 세우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하지만 제아무리 넥스트와 썬이라도 DOS 생산자가 직접 윈도우즈로 뛰어드는 마당에 기존의 PC 시장에 진입하기란 매우 어려웠다. 게다가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미 모든 PC 벤더들과 라이센스를 독점적으로 맺고 있었다. 이 사실들을 고려해 볼 때, 넥스트가 1990년부터 1995년까지 살아남았다는 것도 꽤 놀랍다.

넥스트스텝(NeXTSTEP)을 운영체제로, 나중에는 운영체제상단의 운영 환경이나 웹애플리케이션 개발환경으로 넥스트스텝을 판매하려는 노력은 다음에 논하겠다. 우선은 또다른 맥 경쟁자를 보도록 하자. 이 또한 애플을 출발점으로 하는 또다른 회사였다.

Be
80년대 중반 스티브 잡스가 나간 이후, 존 스컬리는 맥 하드웨어 개발을 이끌 잡스의 후계자로서 쟝-루이 가세를 지명하였다. 가세는 애플 환경을 다른 하드웨어에서 돌리는데 적극적으로 반대하였다. 마이크로소프트와 AT&T 외의 회사들이 맥 라이센스에 관심을 갖고 애플에 접근하였지만, 가세는 애플 하드웨어야말로 맥 플랫폼의 통제력 유지에 핵심이라 주장하였다.

그런데 1990년, 역사는 반복됐다. 스컬리가 가세를 축출한 것이다. 가세는 잡스처럼 자신만의 차세대 맥을 구현하기 위해 비(Be)를 차린다. 5년 정도 앞서 창립된 넥스트처럼, 비도 애플 직원들을 데려다가 맥 플랫폼보다 우월한 대안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비는 원래 실험적인 AT&T의 Hobbit 프로세서 기반으로 완전히 새로운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
이었다. 이는 애플과 비 간의 관련인사들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가세를 쫓아 비로 가기 전까지 애플에서 뉴튼 프로젝트를 이끌던 스티브 사코만(Steve Sarkoman)도 거론할 수 있겠다.

따라서 BeBox 하드웨어 디자인은 애플과 보조를 맞추게 되었고, 결국은 파워맥과 매우 유사한 기종이 탄생하였다.

BeOS는 애플의 시스템 7보다 훨씬 진보된 파일시스템 기술을 통합시켰으며, 현대적인 하드웨어의 더 효율적인 활용과 멀티쓰레드 디자인도 해 놓았다. 넥스트처럼 BeOS도 어느정도 POSIX 기술을 받아들였지만, BeOS의 코어 운영 시스템은 기존 코드에 기반하기보다는 비사 자체 제작이었다.

매킨토시로부터 큰 도약을 벌이는 대신, 비는 애플이 제공하려 했던 것을 보다 현대화시키는 데에 주력하였다. 비는 결국 차세대 아미가였다. 애플 맥의 개선된 대안을 구축하려던 아미가였다는 의미다. 그 결과 BeOS는 인상적인 데모를 보여주고, 특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잘 어울렸다.

넥스트와는 달리 비는 기존의 운영체제 기술을 활용하기보다 자체적으로 완전히 새로운 플랫폼을 구축하려 하였다. 즉, 사무 환경에서 BeOS는 별 쓸모가 없었기 때문에 테스트된 시스템도 거의 없었고, 여러가지 일반적인 기능도 BeOS에서 결코 구현되지 못하였다. 가령 다중사용자 환경이 없다거나 파일퍼미션도 누락되어 있었다.

생존하려는 비의 노력은 완전히 새롭고 실험적ㅇ니 운영체제의 세상이 끝났음을 시사하였다. 운영체제를 바닥부터 새로 만드는 작업은 이제 너무나 어려워졌다.

BeOS가 POSIX와 제한적인 호환성만을 제공했고, 넥스트와 같은 빠른 개발환경이 없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맥보다 비가 우월한 부분은 상당히 제한적이었다.

BeBox 하드웨어 판매에 실패하자, 비는 BeOS를 애플 맥 하드웨어용으로 포팅한다. 하지만 이로써 비는 PC 운영체제 대안으로서의 진입장벽에 부딪히게 된다. 이미 기존의 OS가 존재하는 판에 새로운 OS를 왜 구입할까? 어째서 거의 쓰지도 않는 플랫폼용 소프트웨어를 작성할까? 비는 표준 PC용으로 BeOS를 포팅했을 때에도 똑같은 문제에 직면하였다.

Putting the Mac on a PC
1990년대 초반에 이미 완전히 새롭고 독특한 하드웨어 플랫폼을 선보이기란 너무나 어려워졌다. 넥스트와 썬, 비는 모두 개별 하드웨어 플랫폼 유지가 너무나 어려워졌다는 똑같은 현실에 직면하였다.

이들 모두 DOS에 대항하여 PC 시장에서의 경쟁을 벌이려 하였다. 그러나 새로이 떠오른 윈도우즈때문에 그 또한 어려워졌다.

심지어 애플도 내부적으로 맥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PC에서 돌리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이름하여 스타트렉(Star Trek) 프로젝트이다.

그러나 스트트렉 프로젝트가 실제로 구현되면 기존의 맥 하드웨어 플랫폼을 죽이게 된다. 그리고 애플의 수입 전체가 하드웨어 플랫폼에 있었다. 또한 완전히 새로운 "PC Mac" 플랫폼을 등장시키게 된다. 사용자들이 갑자기 그 플랫폼을 쓰게 될까, 아니면 단순히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 플랫폼으로 이주하게 될까?

스타트렉의 주된 문제는 써드파티용 맥 소프트웨어를 전부다 재작성해야 한다는 데에 있었다. "왜 애플은 이제서야 인텔을 사용하게 되었나"에서 지적한대로, 애플에게는 크로스 플랫폼 개발툴을 제공할 능력이 없었다. 맥의 써드파티 소프트웨어의 너무나 많은 부분이 하드웨어와 직접 교신하는 코드에 의존적이었다.

새로운 플랫폼을 선보이기가 어려워졌다는 점을 깨달은 애플은 마음을 고쳐먹고 스타트렉을 종료시킨다. 또한 똑같은 이유로 인해 애플은 RISC 재규어 컨셉 개발을 중단시키고, 기존의 맥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유지와 개선에 나선다.

이제 애플은 맥을 교체하기보다 좀더 현대적인 하드웨어 플랫폼상에서 소프트웨어를 개선시키고, 나중에는 코어 운영시스템 기능을 개선시킬 계획을 세운다.

Running Out of Time
그러나 애플과 넥스트, 비에게는 시간이 부족했다. 여러가지 생존 전략을 세워보았지만, 세 회사 모두 점차 소수자로 전락해가고 있었고, 데스크톱의 새로운 플랫폼은 이제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즈 3.0이 차지하기 시작하였다.

오랜 기간 이후, 마이크로소프트는 마침내 DOS용 그래픽 셸을 많이 팔 수 있었다. 부분적으로는 윈도우즈용 어도비 페이지메이커의 출현덕분이었다. 갑자기 윈도우즈에게는 페이지메이커라는 킬러 애플리케이션이 생기게 되었다. 더구나 원래 그 프로그램은 맥용 킬러 애플리케이션이었다.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해 강력하게 대항하는 대신, 애플은 오히려 윈도우즈에게 길을 터주는 실수를 아예 시리즈로 저지르게 된다. 여기에 대해서는 1990-1995: The Rise of Windows에서 설명하겠다.

I really like to hear from readers. What do you think? Leave a comment or email me with your ideas.

1990-1995: NeXT, Be, and the Mac PC
__________________
FAQ

'5. NeXTSTEP'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XTstation Turbo color  (0) 2009.07.19
NeXTstation Turbo Mono-모니터가 ...  (0) 2009.07.19
80년대 OS의 역사  (0) 2009.07.17
external DSP devices for NeXT computers  (0) 2009.07.16
NeXT logo  (0) 2009.07.12

댓글